맨위로가기

1907년 핀란드 의회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07년 핀란드 의회 선거는 1906년 의회 개혁으로 도입된 보통 선거에 따라 치러진 핀란드 역사상 최초의 선거이다. 1905년 총파업과 11월 선언을 통해 의회 개혁이 이루어졌으며, 24세 이상 모든 남녀에게 평등한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이 선거는 여성에게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모두 부여하여 세계 최초로 여성 의원 19명을 배출했다. 선거 결과 사회민주당이 원내 다수당이 되었으나, 러시아의 간섭으로 개혁을 제대로 추진하지 못했고, 이는 핀란드 내전의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핀란드의 의회선거 - 1908년 핀란드 의회선거
    1908년 핀란드 의회선거는 러시아 제국 치하 핀란드 대공국에서 치러진 두 번째 선거로, 핀란드 사회민주당이 제1당의 지위를 유지하며 핀란드인들의 저항 의지를 보여주었고, 각 정당은 기존 지지 기반을 유지하며 핀란드 독립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핀란드의 의회선거 - 2019년 핀란드 의회선거
    2019년 핀란드 의회선거는 2019년 4월 14일에 치러져 사회민주당이 제1당이 되었고, 안티 린네를 중심으로 연립 정부가 구성되었다.
  • 1907년 3월 - 1907년 1월 러시아 총선
    1907년 1월 러시아 총선은 1905년 러시아 혁명 이후 제2대 러시아 국가두마 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되었으나, 급진적인 의원들의 다수로 정부와의 갈등 심화와 두마 해산으로 이어져 러시아 민주주의의 짧은 실험으로 평가받는다.
  • 1907년 3월 - 1907년 루마니아 민란
    1907년 루마니아 민란은 1864년 토지 개혁 이후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던 농민들이 플러먼지 마을에서 봉기하여 루마니아 전역으로 확산되었으나 정부의 무력 진압으로 진압되었고, 사회적, 정치적 변화와 예술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1907년 핀란드 의회선거
선거 개요
국가핀란드
선거 유형의회 선거
선거 시기1907년 3월 15일–16일
차기 선거1908년 핀란드 의회 선거
선출 의석수200석 (전체)
과반 의석수101석
주요 정당별 결과
에드바르드 발파스
에드바르드 발파스-해니넨
제1당 대표에드바르드 발파스해니넨
제1당 정당핀란드 사회민주당
제1당 의석수80석
제1당 득표수329,946표
제1당 득표율37.03%
제2당 정당핀란드당
제2당 의석수59석
제2당 득표수243,573표
제2당 득표율27.34%
페르 에빈트 스빈후부드
페르 에빈트 스빈후부드
제3당 대표페르 에빈트 스빈후부드
제3당 정당청년 핀란드당
제3당 의석수26석
제3당 득표수121,604표
제3당 득표율13.65%
악셀 릴레
악셀 릴레
제4당 대표악셀 릴레
제4당 정당스웨덴인당
제4당 의석수24석
제4당 득표수112,267표
제4당 득표율12.60%
오토 카르히
오토 카르히
제5당 대표오토 카르히
제5당 정당농업동맹
제5당 의석수9석
제5당 득표수51,242표
제5당 득표율5.75%
안티 카르네
안티 카르네
제6당 대표안티 카르네
제6당 정당핀란드 기독교 노동자 동맹
제6당 의석수2석
제6당 득표수13,790표
제6당 득표율1.55%

2. 배경

핀란드는 스웨덴령 핀란드 시절 설치된 사원제 신분제 국회가 있었다. 이후 1905년 총파업으로 입법 제도 개혁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졌고, 대공 니콜라이 2세가 11월 선언을 통해 개혁을 윤허, 1906년 의회개혁으로 이어졌다.

2. 1. 핀란드 의회 개혁의 배경

1905년 총파업으로 입법 제도 개혁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졌고, 대공 니콜라이 2세가 11월 선언을 통해 개혁을 윤허함으로써 1906년 의회개혁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기존의 사원제 신분제 국회는 폐지되고 정원 200석의 단원제 의회가 신설되었다. 비슷한 시기 종주국인 러시아에서도 러일전쟁의 패배로 인한 1905년 혁명으로 의회인 두마가 신설되었다.

핀란드의 모든 정파는 개혁 내용에 동의했고, 1907년에 첫 선거가 치러질 예정이었다. 1906년 의회개혁은 제1차 러시아화 정책의 종료를 의미하기도 했다. 러시아는 1899년부터 핀란드에 대한 동화정책을 실시해 핀란드인들의 극심한 반발을 샀고, 1904년 핀란드 총독 니콜라이 보브리코프가 암살당하기도 했다.

1906년 의회개혁 이전의 입법부인 국회는 귀족, 성직자, 시민, 농민의 4개 신분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20세기에는 이미 낡은 제도가 되었을 뿐 아니라 선거권을 가진 사람의 수가 너무 적어서 민의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했다. 새로 설치된 단원제 의회는 24세 이상의 모든 남녀에게 평등하고 보통한 선거권을 부여했다. 이때 여성에게도 선거권을 부여함으로써 뉴질랜드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 유럽에서는 첫 번째로 여성의 선거권을 보장했으며, 동시에 세계 최초로 여성에게 피선거권을 부여했다.

2. 2. 1906년 의회 개혁

1905년 총파업으로 입법 제도 개혁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졌고, 대공 니콜라이 2세가 11월 선언을 통해 개혁을 윤허함으로써 1906년 의회개혁이 이루어져 기존의 사원제 신분제 국회는 폐지되고 정원 200석의 단원제 의회로 대체되었다. 비슷한 시기 종주국인 러시아에서도 러일전쟁의 패배로 인한 1905년 혁명으로 의회인 두마가 신설되었다.

핀란드의 모든 정파가 개혁 내용에 동의했고 선거는 1907년으로 예정되었다. 1906년 의회개혁은 제1차 러시아화 정책의 종료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했다. 러시아는 1899년부터 핀란드에 대한 동화정책을 실시해 핀란드인들의 극심한 반발을 샀고, 1904년 핀란드 총독 니콜라이 보브리코프가 암살당하기도 했다.

1906년 의회개혁 이전의 입법부인 국회는 귀족, 성직, 시민, 농민의 4개 신분으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20세기에는 이미 낡은 제도가 되었을 뿐 아니라 선거권을 가진 사람의 수가 너무 적어서 민의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했다. 새로 설치된 단원제 의회는 24세 이상의 모든 남녀에게 평등하고 보통한 선거권을 부여했다. 이때 여성에게도 선거권을 부여함으로써 뉴질랜드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 유럽에서는 첫 번째로 여성의 선거권을 보장했으며, 동시에 세계 최초로 여성에게 피선거권을 부여했다.

3. 선거 제도

투표 방식은 단기명투표제선호투표제를 절충한 것이었다. 선거권자는 붉은 선으로 하나의 정당을 긋거나, 선호하는 순서대로 후보 세 명의 이름을 쓰거나, 목록에 없는 사람의 이름을 적어 투표할 수 있었다. 이후 돈트 방식을 사용하여 표를 추산하고 의석을 배분하였다.[1]

1907년 선거에 사용된 투표함


투표 시스템은 유권자가 정당 투표 또는 특정 후보에 대한 선호도 표시 중 선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유권자는 붉은 선으로 후보자 명부(정당)에 투표하거나, 어떤 명부에 속한 후보자든 최대 3명까지 선호하는 순서대로 순위를 매기거나, 명부에 없는 후보자 중 최대 3명까지 이름을 적어 투표할 수 있었다. D'Hondt 방식은 명부 투표, 선호 투표 및 명부 외 투표를 다소 복잡한 절차에 따라 합산한 후 의석을 배분하는 데 사용되었다.[1]

4. 선거 운동

핀란드의 언어 갈등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핀란드 정치에서 중요한 문제였다. 핀란드당과 스웨덴당은 각각 페노만과 스베코만 사상에 기반하여 창당되었다. 자유주의 정당이 창당되었지만 곧 해산되었다. 핀란드당은 이후 "구 핀란드인" 지지자와 독자적인 정당을 창당한 "청년 핀란드인"으로 분열되었다. 1899년에는 사회민주당의 전신인 핀란드 노동당이 창당되어 도시 노동자 계급과 농촌의 토지 없는 인구의 지지를 구했다. 이들은 신분 의회에서 정치적 권력이 없었기 때문에 보통 선거가 매우 중요했다. 1906년에는 농민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농업 동맹이 창당되었고, 같은 해 스웨덴당은 현재의 이름인 스웨덴 인민당으로 개칭했다. 선거 운동의 주제는 사회 문제와 러시아화 시도에 대한 정당의 입장을 다루었다.

5. 선거 결과

핀란드 역사상 최초의 보통선거 결과는 다소 놀라웠다. 200석 중 사회민주당(SDP)이 80석을 차지하여 원내 최다 의석을 확보했다.[4] 이는 이전까지 제도권 정치에서 자신들의 목소리를 낼 방법이 없었던 도시 노동자들과 토지 없는 농촌 인구를 대변하는 정당이 의회에서 가장 큰 세력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했다.

우파 정당들 중에서는 핀란드당(SP)이 59석, 청년 핀란드당(NSP)이 26석, 스웨덴인당(RKP)은 24석을 얻었다. 농업동맹(ML)은 9석을 받았지만 이후 급속히 성장하여 주요 정당으로 자리매김한다.

정당득표수득표율(%)의석
사회민주당(SDP)329,94637.0380
핀란드당(SP)243,57327.3459
청년 핀란드당(NSP)121,60413.6526
스웨덴인당(RKP)112,26712.6024
농업동맹(ML)51,2425.759
기독교노동자동맹(SKrTL)13,7901.552
기타18,5682.080
890,990100.00200
colspan="5"|
유효표890,99099.07rowspan="4"|
무효·기권표8,3570.93
총 투표899,347100.00
등록 유권자 수/투표율1,272,87370.65



260px


여성들 역시 평등한 피선거권을 보장받아 200석 중 19석에 여성 의원이 당선되었다. 19명 중 9명은 사회민주당 소속이었고, 나머지 10명은 우익 정당 소속이었다.[5] 이들은 핀란드뿐 아니라 세계 최초의 여성 의원이기도 하다.

  • '''핀란드당 (7인):''' 에벨리나 알라쿨류, 헤드비히 게프하르트, 알렉산드라 그리펜베리, 리시 키비오야, 힐다 캐키코스키, 힐마 래새넨, 이다 베멜푸


하지만 원내 다수당이 된 사회민주당은 그 기쁨을 오래 누리지 못했다. 이듬해부터 제2차 러시아화 정책이 시작되어 러시아 제국은 다시 핀란드를 억압했다. 제2차 압제기(1908년-1917년)에 니콜라이 2세는 핀란드 의회를 여러 차례 해산시켰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의회가 열리지 못했다. 결국 핀란드 사회민주당은 1907년부터 1917년까지 10년간 원내 다수당이었지만 원하는 개혁을 제대로 실행하지 못했다. 그 결과, 보통선거를 통해 자신들의 목소리가 대변될 수 있으리라 기대했던 하층 계급 민중들은 의회 정치에 환멸을 느꼈다. 이는 1918년 핀란드 내전의 한 원인으로 꼽히기도 한다.

6. 결과의 영향 및 한계

우익 정당의 여성 의원들은 검은 드레스를, 사회민주당의 여성 의원들은 흰색 드레스를 입었다.[5]||260px]]

여성들 역시 평등한 피선거권을 보장받아, 200석 중 19석에 여성 의원이 당선되었다. 19명 중 9명은 사회민주당 소속이었고, 나머지 10명은 우익 정당 소속이었다. 이들 19명은 핀란드뿐 아니라 세계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이기도 하다.[5]


  • '''핀란드당 (7인):''' 에벨리나 알라쿨류, 헤드비히 게프하르트, 알렉산드라 그리펜베리, 리시 키비오야, 힐다 캐키코스키, 힐마 래새넨, 이다 베멜푸


하지만 원내 다수당이 된 사회민주당은 그 기쁨을 오래 누리지 못했다. 이듬해부터 제2차 러시아화 정책이 시작되어 러시아 제국은 다시 압제를 시작했다. 제2차 압제기(1908년-1917년)에 니콜라이 2세는 핀란드 의회를 여러 차례 해산시켰다.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의회가 열리지 못했다. 결국 핀란드 사회민주당은 1907년부터 1917년까지 10년간 원내 다수당이었지만, 자신들이 원하는 개혁을 제대로 실행하지 못했다. 그 결과, 보통선거를 통해 자신들의 의사가 반영될 수 있으리라 기대했던 하층 계급 민중들은 의회 정치에 환멸을 느꼈다. 이는 1918년 핀란드 내전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2006년, 핀란드 의회 100주년 기념주화가 발행되었다. 주화 도안에는 남자와 여자의 실루엣이 손을 잡고 투표함에 투표용지를 넣는 모습이 새겨졌다.

7. 의의

사회민주당의 승리는 오래가지 못했다. 이듬해 핀란드 대공국의 러시아화 시도가 시작되었고, 러시아 황제는 1908년부터 1917년까지 여러 차례 핀란드 의회를 해산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의회는 오랫동안 소집되지 않았다. 따라서 사회민주당은 이 기간 동안 모든 선거에서 최대 정당 지위를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핀란드의 자치 시대 마지막 몇 년 동안 대부분의 개혁을 추진할 수 없었다. 그 결과, 많은 사회주의 지지자들은 보통 선거로 선출된 의회에 대한 초기의 높은 기대를 잃었다. 이는 1918년 핀란드 내전으로 이어진 여러 요인 중 하나였다.

핀란드 의회 개원 100주년은 2006년에 주조된 고액 기념 주화인 €2 핀란드 의회 100주년 기념 주화의 주요 모티프로 선정되었다.[1] 앞면에는 여성과 남성의 손 실루엣, 그리고 손 아래에는 투표함에 투표 용지가 삽입되는 모습이 묘사되어 있다.[1] 뒷면에는 얇은 곡선으로 구분된 두 개의 양식화된 얼굴, 즉 남성과 여성이 중앙 부분에 묘사되어 있다.[1] 이는 양성 평등을 상징하며, 양면의 그림 주제가 동전의 중심과 관련하여 동일하다는 사실도 이를 보여준다.[1]

참조

[1] 웹사이트 A Century On, Finns Head Back to Ballot Booths https://yle.fi/news/[...] 2007-03-15
[2] 웹사이트 Suomalainen Naisliitto – Historia https://naisliittohe[...] 2020-01-18
[3] 서적 The International Almanac of Electoral History Macmillan 1991
[4] 서적 The International Almanac of Electoral History Macmillan 1991
[5] 웹인용 The first women Members of Parliament in Finland, 1907-1908 http://www.helsinki.[...] Centenary of women's full political rights in Finlan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